티스토리 뷰
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
-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.
- 고유 키(PK)가 각 레코드를 식별한다.
- 각 테이블 / 관계는 하나의 개체 타입(고객 정보, 제품 정보 등)을 대표한다.
왜 "관계(Relationships)형" 일까?
관계는 테이블 간에 둘 다 서로 존재한다. 이 관계들은 1:1, 1:N, N:M, 이렇게 세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.
1) 1:1관계
왼쪽 개체, 오른쪽 개체가 반드시 '하나'로만 매핑되어야 한다.
[예시] : 군인 ⇔ 군번
'1. 군인은 반드시 하나의 군번을 갖습니다.'
'2. 군번 또한 1명의 군인에게만 부여됩니다.'
2) 1:N 관계
한쪽 개체가 관계를 맺은 다른 개체의 여러 객체를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.
이 관계는, 실제 DB를 설계할 때 자주 쓰이는 방식입니다.
[예시] : 부대 ⇔ 군인
'1. 부대에는 군인이 1명부터 수천만명까지 소속될 수 있습니다.'
'2. 하지만 군인은 하나의 부대에만 소속될 수 있습니다. '
3) N:M 관계
N : M 관계는 관계를 가진 양쪽 엔티티 모두에서 1 : M 관계가 존재할 때 나타나는 모습입니다.
한쪽 개체가 관계를 맺은 다른 개체의 여러 객체를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.
[예시] : 군인 ⇔ 휴가 날짜
'1. 군인은 원하는 휴가 날짜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.'
'2. 휴가도 같은 날에 여러 명의 군인에게 선택될 수 있습니다.'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