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

  1.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.
  2. 고유 키(PK)가 각 레코드를 식별한다.
  3. 각 테이블 / 관계는 하나의 개체 타입(고객 정보, 제품 정보 등)을 대표한다.

왜 "관계(Relationships)형" 일까?

관계는 테이블 간에 둘 다 서로 존재한다. 이 관계들은 1:1, 1:N, N:M, 이렇게 세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.


1) 1:1관계

왼쪽 개체, 오른쪽 개체가 반드시 '하나'로만 매핑되어야 한다.

[예시] : 군인 ⇔ 군번

    '1. 군인은 반드시 하나의 군번을 갖습니다.'

    '2. 군번 또한 1명의 군인에게만 부여됩니다.'

 

2) 1:N 관계

한쪽 개체가 관계를 맺은 다른 개체의 여러 객체를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.

이 관계는, 실제 DB를 설계할 때 자주 쓰이는 방식입니다.

[예시] : 부대 ⇔ 군인

    '1. 부대에는 군인이 1명부터 수천만명까지 소속될 수 있습니다.'

    '2. 하지만 군인은 하나의 부대에만 소속될 수 있습니다. '

 

3) N:M 관계

N : M 관계는 관계를 가진 양쪽 엔티티 모두에서 1 : M 관계가 존재할 때 나타나는 모습입니다.

한쪽 개체가 관계를 맺은 다른 개체의 여러 객체를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.

[예시] : 군인 ⇔ 휴가 날짜

    '1. 군인은 원하는 휴가 날짜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.'

    '2. 휴가도 같은 날에 여러 명의 군인에게 선택될 수 있습니다.'


 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